오늘 소개할 불교 관련 가르침은 통일신라 시대 승려였던 원효대사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발심하여 수행하는 글이다. 불교 전문 강원의 사미과 교과목 중 한 과목이며 승려가 되기 위하여 출가한 이들의 지침서가 되는 불교 입문서이다.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발심하여 수행하는 글 / 해동사문 원효(海東沙門 元曉), 지묵 역(知黙 譯)
(대저) 모든 부처님이 적멸궁(寂滅宮)을 장엄하심은, 많은 세월 욕심을 버리고 고행하심이요, 중생들이 화택(火宅) 속에서 윤회함은, 한량없는 세상에 탐욕을 버리지 못함 때문이니라. 막지 않는 천당에 이르는 이가 적은 것은 삼독의 번뇌로 자기 집 재물을 삼음이요, 끌어들이지 않는 악도에 들어가는 이가 많은 것은 사대(地.水.火.風) 색신 오욕락(財.色.食.名.睡)으로 허망한 마음의 보물을 삼음 때문이니라.
사람이 누군들 산에 들어가 수도하고자 하지 않으리오마는, 이에 나아가지 못함은 애욕에 얽매인 탓이니라. 그러나 산중 숲속에 들어가 마음을 닦지 못하려도 자신의 힘껏 선행을 버리지 말지니라. 제 욕락을 능히 버리면 믿어 공경하기를 성인과 같이하고, 어려운 행을 행하면 존중하기를 부처님과 같이하느니라.
재물을 아끼고 탐함은 마구니의 권속이요, 자비로 보시함은 법왕의 자녀니라. 높은 산 험한 바위는 지혜 있는 이가 거처할 곳이요, 푸른 솔 깊은 골짜기는 수행하는 이가 깃들 곳이니라. 시장하면 나무 열매를 먹어서 주린 창자를 위로하고 갈증 나면 흐르는 물을 마셔서 목마른 생각을 쉴지니라. 맛있는 것을 먹어서 소중히 길러도 이 몸은 결정코 무너지고 부드러운 옷을 입어서 지켜 보호하여도 목숨은 반드시 마침이 있느니라.
소리 울리는 바위굴로 염불당을 삼고 구슬피 우는 기러기 떼로 마음을 기쁘게 해주는 벗을 삼을지니라. 절하는 무릎이 얼음과 같을지라도 불을 생각하는 마음이 없으면 굶주린 창자가 끊어질 듯하여도 밥을 구하는 생각이 없을지니라. 홀연히 백 년에 이르거늘 어찌하여 배우지 아니하며, 일생이 얼마나 되는데 닦지 않고 게으른고.
마음속에 애욕 떠난 이를(사문) 이라 이름하여 세속을 생각하지 않는 것을(출가) 라 이름하느니라. 수행자로서 애욕을 그물에 걸림은 개가 코끼리 가죽을 쓴 것과 같고 도를 닦는 사람이 사랑을 품는 것은 고슴도치가 쥐, 굴속에 들어가는 것과 같으니라. 비록 재주와 지혜가 있더라도 마을 집에 사는 이는 부처님이 이 사람에게 가여운 마음을 내시고 설사 도행이 없더라도 산방에 머문 자는 모든 성중이 이 사람에게 환희심을 내느니라.
비록 재주와 배움이 있으나 계행이 없는 이는 보배 있는 곳으로 인도하나 일어나 가려고 하지 않는 것과 같고 비록 부지런히 행이 있으나 지혜가 없는 이는 동쪽으로 가고자 하면서 서쪽을 향해 가는 것과 같으니라. 지혜가 있는 사람의 소행은 쌀을 쪄서 밥을 짓는 것과 같고. 지혜가 없는 사람의 소행은 모래를 쪄서 밥을 짓는 것과 같으니라.
밥을 먹어서 주린 창자를 위로할 줄은 널리 알면서도 불법을 배워 어리석은 마음을 고칠 줄은 알지 못하는구나!
실행과 지혜가 갖추어짐은 수레의 두 바퀴와 같고 나도 이롭고 남도 이롭게 하며 새의 양쪽 날개와 같으니라. 죽을 얻어 범패 하되 그 취지에 미치지 못하면 또한 시주에게 마땅히 수치가 아니며 밥을 얻어 범패 하되 그 취지에 미치지 못하면 또한 성현에게 마땅히 부끄러움이 아니랴.
사람들이 구더기가 깨끗함과 더러움을 가리지 못함을 미워하듯이 성인은 사문이 깨끗함과 더러움을 가리지 못함을 미워하느니라. 세간의 시끄러움을 버리고 천상을 올라가는 데는 계가 좋은 사다리가 되니 이런 까닭으로 파계하고 남의 복 밭이 됨은 날개가 꺾인 새가 거북을 등에 지고 공중에 날려는 것과 같으니라.
자기의 죄를 벗지 못하면 남의 죄를 풀어주지 못하느니라. 그러하니 계행이 없고서 다른 이의 공양을 어찌 받겠는가. 행이 없는 헛된 몸은 길러도 이익이 없고. 무상한 뜬 목숨은 사랑하여 아껴도 보존하지 못하느니라. 용상(龍象)의 덕을 우러르면 능히 긴 고통을 참고 사자의 좌(座)를 기약하여 길이 욕락을 등질지니라.
수행자의 마음이 깨끗하면 모든 하늘신이 한가지로 찬탄하고 도를 닦는 이가 여색을 생각하면 착한 신장(神將)들이 버리고 떠나느니라. 사대는 홀연 흩어지는 것이라 오래 살기를 보증할 수 없나니 오늘도 벌써 저녁이라. 자못 아침부터 행할 것이니라. 세상의 향락은 후에 곧 괴로움이거늘 어찌 닦지 않으랴? 도인의 탐욕은 수행자의 수치요, 출가인의 부귀는 군자의 웃음거리니라.
이 말이 다하지 않건만 탐착을 그치지 아니하며, 이다음이 다함이 없건만 애착을 끊지 아니하며 이 일이 한정 없건만 세상일을 버리지 아니하며, 저 모책이 끝이 없건만 끊을 마음 일으키지 아니하는구나. 오늘이 다하지 않건만 악을 지음이 날로 많아지며, 내일이 다함이 없건만 선을 지음이 날로 적으며.
올해가 다하지 않건만 한없이 번뇌하며, 내년이 다함이 없건만 보리에 나아가지 않도다. 시간 흘러가서 속히 밤낮이 지나며, 하루하루 흘러가서 속히 한 달이 그믐이 지나며 다달이 흘러가서 홀연 내년이 닥치며 연년이 흘러가서 잠시 사이 죽음의 문에 이르나니
부서진 수레는 가지 못하고 늙은 사람은 닦지 못하는지라, 누워서는 게으름만 생기고 앉아서는 어지러운 생각만 일어나느니라. 몇 생을 닦지 아니하고 헛되이 주야를 보냈으면 얼마나 살릴 헛된 몸인데 일생을 닦지 아니하는가? 몸은 반드시 마침이 있으리니 후신을 어찌하랴. 급하지 아니하며 급하지 아니한가. 終
* 발심하여 수행하는 글(發心修行章)은 지눌(知訥)의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야운(野雲)의 『자경문(自警文)』과 함께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으로 초심출가자를 위한 불교 입문서이다.
'여시아문(如是我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스로를 경책하는 글(自警文) / 야운비구(野雲比丘) (101) | 2023.08.01 |
---|---|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 칠불통계(七佛通戒) (89) | 2023.07.30 |
초발심 학인을 경계하는 글 誡初心學人文 (46) | 2023.07.23 |
불교에서 말하는 방생이란 (83) | 2023.07.18 |
‘단지 15분’이라는 연극 (54) | 2023.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