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할 글은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 중 초발심 학인을 경계하는 글.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이다. 계초심학인문은 불교에 입문한 초심 학인이나 동자승들이 지켜야 할 예의범절과 수행에 관한 것으로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스님이 후학을 위해 쓰신 글이다. 스님들 뿐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훌륭한 가르침이 되는 글이다.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 해동사문(海東沙門) 목우자(牧牛子)
- 초발심 학인을 경계하는 글
처음 발심한 사람은(모름지기) 나쁜 벗은 멀리하고 어질고 착한 사람을 친근히 하여 5계와 10계 등을 받아서, 지키고 어기고 열고 닫을 줄을 알아야 하느니라. 다만 부처님의 성스러운 말씀에 의지할지언정 용렬한 무리의 허망한 말을 따르지 말지니라.
이미 출가하여 청정한 대중에 동참하였으니 항상 부드럽고 화목하여 착하고 순종함을 생각할지언정 아만으로 제 잘난 체하지 말지니라. 큰 이는 형이 되고 작은 이는 아우가 되니, 만일 다투는 이가 있거든 양쪽의 주장을 화합하여, 자비스러운 마음으로 향할지언정 나쁜 말로 남을 상하게 하지 말지니라.
만일 도반(道伴)을 업신여겨서 시비를 논설한다면, 이와 같은 출가는 전혀 이익이 없느니라. 재물과 여색의 화(禍)는 독사보다 심하니 제 몸을 살펴서 그릇된 점을 알아 항상(모름지기) 멀리 여의어야 하느니라.
반연(攀緣)이 있는 일이 아니면 다른 이의 방이나 요사채에 들어가지 말라. 남이 가려둔 곳에서는 구태여 알려고 애쓰지 말며 6일이 아니면 내의를 세탁하지 말라. 세수하고 양치질할 때는 큰 소리로 코 풀거나 침 뱉지 말며 대중 공양받을 때는 당돌하게 차례를 어기지 말라.
걸을 때는 옷깃을 벌리고 팔을 흔들지 말며 말을 할 때는 큰 소리로 떠들거나 희롱하여 웃지 말라. 긴요한 일이 아니면 산문 밖에 나가지 말라. 환자가 있으면 자비스러운 마음으로 보살피며 객을 대하게 되면(모름지기) 흔연히 맞아들여라. 어른을 만나면(모름지기) 공손하게 길을 피해야 하느니라.
도구를 마련하되(모름지기) 검약하여 만족할 줄 알라. 공양할 때는 마시고 씹을 적에 소리를 내지 말라. 발우 수저 숟가락 집고 놓을 적에 반드시 조심히 하여 얼굴을 들고 돌아보지 말라. 맛있고 맛없는 음식을(가려서) 좋아하거나 싫어하지 말며, 묵묵히 하여 말하지 말며 잡념이 일어나지 않게 막으라.
(모름지기) 밥을 받는 것이 다만 몸이 마름을 치료하여. 도업(道業)을 이루기 위함인 줄을 알아야 한다. (모름지기) 반야심경을 염하되 삼륜(三輪)이 청정함에 관하여 도용(道用)을 어기지 말지니라.
향 사르고 예불에 나아가 돼 조석으로 근행(勤行)하여 스스로 게으름을 꾸짖어야 한다. 대중이 행하는 차례를 알아서 어지럽히지 말라. 범패하고 축원할 때에는(모름지기) 글을 외우면서 뜻을 관하라. 음성만 따르지 말고 곡조를 고르지 않게 하지 말며 성현(불보살님)을 공경히 우러러 뵙되 다른 경계에 반연(攀緣)하지 말지니라.
자신의 죄 업장(業障)이 마치 산과 바다와 같은 줄을 알아서(모름지기) 마음으로 뉘우치고 몸으로 참회하여야 가히 소멸할 수 있는 줄을 알아야 한다. 절을 올리는 이와 절을 받는 이(불보살)가 모두 참된 성품으로 인연하여 일어난 줄을 관하여야 한다. 감응(佛心이 중생 마음 가운데 들어가고 중생이 이를 느낌)함이 헛되지 않아 그림자와 메아리가 서로 따르는 줄을 깊이 믿을지니라.
대중 방에 머물 때에는(모름지기) 서로 양보하여 다투지 말라. (모름지기) 서로 도와주며 승부를 다투어 논란함을 삼가며 머리를 맞대고 앉아서 잡담함을 삼가라. 남의 신을 잘못 신지 않도록 삼가며 앉고 눕는 차례 어기는 것을 삼가며 객을 만나 이야기할 때는 절 집안의 불사를 찬탄할지언정 고방(庫房)에 나아가서 잡사를 견문하고 스스로 의혹을 내지 말지니라.
요긴한 일이 아니면 이 마을에 갔다가 저 마을에 다니면서, 속인들과 더불어 교제하여, 다른 사람의 미움을 사거나 자기의 도 닦는 생각을 잃지 말지니라. 만일 요긴한 일이 일어나 가게 되면 주지 스님과 대중 소임자에게 알려서 가는 곳을 알게 하라.
만일 속가에 들어갈 때는, 간절히 (모름지기) 정념을 굳게 지녀서 삼가 경계를 보거나 소리를 듣고 삿된 마음에 흘려 빠지지 말아야 한다. 하물며 옷깃을 헤치고 희롱하며 웃고 잡된 일을 어지러이 이야기하며, 때아닌 술과 음식으로 망령되이 무애(無碍)의 행을 저질러서, 부처님의 계를 크게 어기겠는가? 또 어질고 착한 이의 혐의를 받는 사이에 처하면 어찌 지혜 있는 사람이라 하리요.
사당(공부하는 처소)에 머물 때는 사미와 동행함을 삼가며, 인사로 오고 감을 삼가며, 남의 좋고 나쁜 점 보기를 삼가며 문자 탐구함을 삼가며, 수면이 과도함을 삼가며, 산란하게 반연(攀緣)함을 삼가할지니라.
만약에 종사(宗師)가 법좌에 올라 설법하시는 때를 만나면, 반드시 법을 대함에 낭떠러지에 매달린 것 같은 생각을 내야 한다. 물러나는 마음을 내거나, 혹은 늘 듣는 것이라는 생각을 지어서 쉽게 여기는 마음을 내지 말아야 한다. 마땅히(모름지기) 빈 마음으로 들으며, 반드시 기(機)가 발할(깨달을) 때가 있으리니, 말만 배우는 이를 따라서 단지 입으로만 지껄임을 취하지 말지니라.
소위 뱀이 물을 마시면 독이 되고, 소가 물을 마시면 우유가 되듯이, 지혜로운 이의 배움은 보리를 이루고 어리석은 이의 배움은 생사를 이룬다 함이 이것이니라. 또 법주에게 업신여기는 생각을 내지 말라. 그로 말미암아 도에 장애가 되면 능히 나아가지 못하리니, 간절히(모름지기) 삼갈지니라.
논(論)에 이르기를, 마치 사람이 밤길을 갈 적에, 죄 있는 사람이 횃불을 잡고 길을 인도함을 만났는데, 만일 이 사람이 나쁜 사람이라 하여 그 불빛 까지 받지 않는다면, 구덩이에 빠지고 참호에 떨어지게 된다고 하셨다.
법문을 들을 때에는 얇은 얼음을 밟듯이 하여 반드시 눈과 귀를 기울여 현미(玄微)한 소리를 들으며, 마음 티끌을 맑게 하여 그윽한 이치를 완상(玩賞)하여야 한다. 법당에서 내려온 뒤에는 묵묵히 앉아 관하되, 만일 의심스러운 바가 있으면 먼저 깨우친 이에게 널리 물으며 저녁에 근념(勤念)하고 아침에 물어서, 실오라기 털끝만큼도 흩트리지 말지니라.
이와 같아야, 이에 응해 올바른 신심을 내어 도를 가슴에 품는 사람이니라. 비롯함이 없는 옛적부터 습(習)으로 익힌 애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마음을 얽매고 있으면서, 잠깐 조복되었다가 다시 일어남이 마치 하루걸러 오한과 열이 나는 학질과 같다.
어느 때에나 모름지기 고향 방편인 지혜의 힘을 써서, 간절히 스스로 막아 지켜야 한다. 어찌(가히) 부질없이 근거 없는 것을 한가롭게 이야기하여 헛되이 세월을 보내겠는가. 심종(心宗)을 기대하여(마음 깨닫기를 바라며) 생사 벗어나는 길을 구하고자 하리요. 다만, 뜻과 절개를 굳게 하여서 몸을 꾸짖어 게으르지 말며. 잘못을 알아 선(善)으로 옮겨 참회하여 다스릴지니라.
부지런히 수행함에 관하는 힘이 점점 깊어지고, 연마함에 하는 일이 더욱 깨끗해지느라. 오랫동안 만나기 어렵다는 생각을 일으키며 도 닦는 일이 는 새롭고 항상 다행스럽다는 마음을 품으면 끝내 물러나지 않으리니, 이렇게 하기를 오래 하면 자연히 선정과 지혜가 원만히 밝아져서 자기의 성품을 보며(깨달으며) 자비와 지혜를 환술과 같이 써서, 돌이켜 중생을 제도하여 인간과 천상의 큰 복 밭을 지으리니 간절히(모름지기) 힘쓸지니라. 終
출처 『초발심자경문』 우리출판사. 옮긴이 지묵. 1995년.
'여시아문(如是我聞)'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 칠불통계(七佛通戒) (89) | 2023.07.30 |
---|---|
발심하여 수행하는 글(發心修行章) (68) | 2023.07.27 |
불교에서 말하는 방생이란 (83) | 2023.07.18 |
‘단지 15분’이라는 연극 (54) | 2023.06.19 |
불교 상식 ‘수리수리 마수리’ 뜻. (45) | 2023.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