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판사판에 관한 이야기
이판사판(理判事判)은 흔히 막다른 데까지 간 상황으로 어찌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경우를 말합니다. 사생결단의 부정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이판사판(理判事判)은 조선시대 숭유억불 정책에 의해 천인으로 격하된 승려들을 갈 데까지 간 막장 인생이라는 뜻으로 불교를 폄훼하려는 의도가 다분히 있습니다. 이판사판(理判事判)은 불교와 관련된 용어로 승려의 소임에 따라 이판승(理判僧)과 사판승(事判僧)으로 나뉘어 불리게 됩니다.
이판승은 주로 불교 본연인 깨달음을 얻기 위해 참선을 하거나 염불 수행 정진하는 스님을 말합니다. 사판승은 사찰의 살림을 책임지는 승려로 절의 주지 스님이나 재정을 담당하는 스님을 말합니다. “염불에는 맘이 없고 잿밥에만 맘이 있다.”라는 말로 사판승을 나무라는 속담도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가 흔히 쓰고 있는 이판사판(理判事判)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여시아문(如是我聞)'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 아미타불 (129) | 2024.03.02 |
---|---|
건달의 유래 (101) | 2024.02.19 |
증도가(證道歌) / 영가 현각 (58) | 2024.02.12 |
청산은 나를 보고 /나옹화상 (61) | 2024.02.10 |
경허선사 참선곡(鏡虛禪師 參禪曲) (61) | 2024.02.04 |
댓글